본문 바로가기

필리핀 문화, 제도6

필리핀의 자국민 보호법 필리핀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필리핀에는 자국민 보호법이라는 것이 있어서, 필리핀 사람과의 사이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면 무조건적으로 외국인에게 불리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러면 과연 필리핀에는 자국민 보호법이라는 법이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우리나라에는 자국민 보호법이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반은 맞는 말이고 반은 틀린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필리핀에는(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자국민 보호법이라고 하는 단행법률은 없습니다. 다만, 제정된 여러 법률속에서 자국민의 영업권이나 노동권, 소유권 등을 보호하기 위한 강행규정 등을 두고 있는데요, 이러한 규정들이 외국인들로 부터 자국민의 권리나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법인 설립시 일정규모의 법인의 경우.. 2025. 4. 7.
필리핀의 지방언어(방언, 사투리, Dialect) 필리핀은 7천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인데요, 수도 마닐라가 있는 북쪽의 루존 섬을 중심을 중심으로 한 북부지방, 세부섬, 바콜로드가 있는 네그로스섬, 일로일로가 있는 파나이 섬, 타끌로반, 사말이 있는 레이테 섬 등이 있는 중부지방인 비사야 지역, 다바오가 있는 민다나오섬의 남부지방 이렇게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필리핀이 섬나라 이다 보니, 옛날에는 왕래가 어려워서 각 지역간의 방언(사투리)이 발달하게 되었는데요, 북부지방인 루존섬의 마닐라 지역의 방언은 따갈로그, 루존섬의 북쪽에 위치한 바기오는 일루까노라고 하는 지역방언이 있고, 여러분이 잘아시는 앙헬레스, 클락 지역은 까팜팡안이라고 하는 지역방언이 있습니다. 또한 중부지방인 비사야스 지역의 세부는 세부아노, 일로일로는 일롱고, 바.. 2025. 3. 31.
필리핀은 "모계사회" 일까? 필리핀 관련 유튜버들이나 필리핀에 관하여 글을 쓰거나 말을 하는 사람들 가운데 필리핀이 "모계사회" 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나온 "모계사회"의 정의를 보면, 가문과 혈통을 어머니의 핏줄을 기준으로 삼는 사회이며, "부계사회"와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외할아버지의 성씨가 어머니를 통해 그 자식에게로 이어진다는 말입니다. ​그럼 필리핀은 어떨까요? 여자는 결혼하면서 남편의 성을 따르고, 그 자식은 아버지의 성씨를 이어받습니다. 따라서 "모계사회"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필리핀은 "모계사회"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그럼 필리핀 사회가 여권이 신장되고, 여성에 대한 보호가 잘 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필리핀 사회를 "모계사회"라고 부르는 걸까요? 단편적인 예일 수 .. 2025. 3. 24.
필리핀의 바랑가이 시스템 고대 필리핀 사회의 통치형태는 부족을 다스리는 족장에 의한 지배체제 였습니다. 당시 그들은 통치조직의 단위가 되는 부족의 형태를 "바랑가이(Barangay)라고 하고, 족장을 "다투(datu)"라고 불렀습니다. 다투는 최고의 행정권자, 입법관, 재판관이었으며 군사적 지배자이기도 하였습니다. ​바랑가이는 현재도 필리핀 지방행정의 최소 단위이자 가장 중요한 자치기구로서존속되고 있으며, 현재 약 42,000 여개의바랑가이가 필리핀 전국적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필리핀의 바랑가이의 업무로는 우리나라의 주민센터에서 행하는 주민 행정, 복지에 관한 업무에 더하여, 일정한 법위내에서의 사법권을 행사하고 있고, 특히 민사 소송에 있어서는 민사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반드시 바랑가이의 "화해", "조정" 절차를 거치게 하고.. 2025.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