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리핀문화4

필리핀의 자국민 보호법 필리핀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필리핀에는 자국민 보호법이라는 것이 있어서, 필리핀 사람과의 사이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면 무조건적으로 외국인에게 불리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러면 과연 필리핀에는 자국민 보호법이라는 법이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우리나라에는 자국민 보호법이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반은 맞는 말이고 반은 틀린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필리핀에는(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자국민 보호법이라고 하는 단행법률은 없습니다. 다만, 제정된 여러 법률속에서 자국민의 영업권이나 노동권, 소유권 등을 보호하기 위한 강행규정 등을 두고 있는데요, 이러한 규정들이 외국인들로 부터 자국민의 권리나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법인 설립시 일정규모의 법인의 경우.. 2025. 4. 7.
필리핀의 지방언어(방언, 사투리, Dialect) 필리핀은 7천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인데요, 수도 마닐라가 있는 북쪽의 루존 섬을 중심을 중심으로 한 북부지방, 세부섬, 바콜로드가 있는 네그로스섬, 일로일로가 있는 파나이 섬, 타끌로반, 사말이 있는 레이테 섬 등이 있는 중부지방인 비사야 지역, 다바오가 있는 민다나오섬의 남부지방 이렇게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필리핀이 섬나라 이다 보니, 옛날에는 왕래가 어려워서 각 지역간의 방언(사투리)이 발달하게 되었는데요, 북부지방인 루존섬의 마닐라 지역의 방언은 따갈로그, 루존섬의 북쪽에 위치한 바기오는 일루까노라고 하는 지역방언이 있고, 여러분이 잘아시는 앙헬레스, 클락 지역은 까팜팡안이라고 하는 지역방언이 있습니다. 또한 중부지방인 비사야스 지역의 세부는 세부아노, 일로일로는 일롱고, 바.. 2025. 3. 31.
필리핀은 "모계사회" 일까? 필리핀 관련 유튜버들이나 필리핀에 관하여 글을 쓰거나 말을 하는 사람들 가운데 필리핀이 "모계사회" 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나온 "모계사회"의 정의를 보면, 가문과 혈통을 어머니의 핏줄을 기준으로 삼는 사회이며, "부계사회"와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외할아버지의 성씨가 어머니를 통해 그 자식에게로 이어진다는 말입니다. ​그럼 필리핀은 어떨까요? 여자는 결혼하면서 남편의 성을 따르고, 그 자식은 아버지의 성씨를 이어받습니다. 따라서 "모계사회"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필리핀은 "모계사회"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그럼 필리핀 사회가 여권이 신장되고, 여성에 대한 보호가 잘 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필리핀 사회를 "모계사회"라고 부르는 걸까요? 단편적인 예일 수 .. 2025. 3. 24.
필리핀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 자본, 인력, 토지나 건물 등의 부동산등 사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여러가지 있을 수 있겠지만, 특히나 해외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현지 언어를 들지 않을 수 없다. 현지인과 대화를 할 수 없고, 현지어로 작성된 문서를 이해하지 못하면서 해외에서 사업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컨대, 한국말을 할 줄 모르고, 한글도 읽을 줄 모르는 미국인이 한국에 와서 건물을 지어 임대업을 한다고 할 때, 여러분이면 그 미국인에게 뭐라고 말해 줄 수 있을 것인가? 아마도 한국말과 한글을 배우고 한국 문화에 대해 충분히 안 다음에 한국에서의 사업에 도전하라고 할 것이다. 이 곳 필리핀에서도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 필리핀에 와서 작던, 크던 사업을 하려는 한국사람이 현지인과 의사소통이 안되.. 2023. 4. 8.